2025년 6월 21일 하안거 다라니기도 남룡스님 소참법문 요약. > 다라니 기도 법문

본문 바로가기
다라니 기도 법문
기도/법회 다라니 기도 법문

2025년 6월 21일 하안거 다라니기도 남룡스님 소참법문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다라니기도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5-06-22 16:12

본문

    오늘 선명상 실천 대회가 있었습니다. 참석하신 경험이 어떠신지요? 행사 일정으로 늦어지신 주지 스님을 대신하여 제가 선에 대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가 다라니기도, 지장경 독송, 참선 등을 수행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마음을 닦고, 다스리고, 고요함으로 평정심을 늘 유지하고 싶은 마음이겠지요.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위와 같은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수행을 통해 마음에서 일어나는 번뇌, 망상을 없애고자 함이지요.

    마음을 잔디밭으로 비유하자면 번뇌, 망상이라는 잡초를 뽑는 행위가 수행이요, 뽑는 것을 수월하게 해 주는 연장이 바로 기도로서 염불 독송이나 참선과 같은 명상이 되는 것입니다. 깨끗하게 정돈된 잔디밭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맞는 연장을 선택해서 수시로 자라나는 잡초를 뽑는 게 중요합니다. 이것이 곧 수행입니다. 이러한 수행은 잘 정돈된 잔디밭을 위해 늘 잔디밭을 살피듯 평온한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 끊임없이 기도나 참선이라는 수행 방법을 통해 마음을 닦는 행위입니다.

    그렇다면 마음을 닦는다’, ‘다스린다라는 게 무슨 의미일까요? 저는 마음을 바다에 떠 있는 배로 비유해 보고자 합니다.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배는 생각이요, 배를 향해 일렁이는 물결은 감정이 되는 것입니다. 물결은 그저 지나갑니다. 그 강도가 아무리 거세도 물결이 그저 지나가기만을 기다리면서 우리는 깨어있기만 하면 됩니다. ‘라는 파도가, 슬픔이라는 물결이 지나감을 알아차리기만 하면 됩니다. 그 누구도 파도를, 물결을 조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생각인 배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돌이킬 수 있습니다. , 감정은 수용하고 생각은 그 방향을 돌이킴으로 마음을 다스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행이 바로 인 것입니다. 흔들리는 배에서 닻을 내라면 배는 중심을 잡게 됩니다. 마음이 흔들리고 번잡스러울 때 수행을 통한 마음의 닻을 내리는 거지요. 그러니 기도할 때도, 참선할 때도 깨어있음으로 지금-여기를 경험하고 의식하는 게 수행입니다. 이러한 수행은 밥 먹듯이 삶에 스며들어서 자연스럽게 자기 삶과 하나가 되어 삶의 방향이 되어 살아있는 한 멈춤이 없어야 합니다.

    우리가 하는 기도나 참선은 연장을 다듬는 것이므로 마음에 하고 물결이 일어나면 그것을 알아차림으로 감정은 수용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는 것이, 바로 마음의 풀을 뽑는 행위이며, 닻을 내리는 수행인 것입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 텔레그램 보내기
  • 텀블러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X

회원로그인


(우: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종무소 : 032-937-0125 팩스 : 032-232-5450
템플스테이 사무국 : 032-937-0152
COPYRIGHT 2006 전등사 ALL RIGHTS RESERVED.
그누보드5
(우: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종무소 : 032-937-0125 팩스 : 032-232-5450 템플스테이 사무국 : 032-937-0152
COPYRIGHT ⓒ 2005~2025 전등사 ALL RIGHTS RESERVED.